M to R adapter 사용시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김일수
- 작성일 : 03-12-05 15:33
관련링크
본문
M to R adapter에 연결 R 바디에 사용한 M 렌즈는 단지 접사 기능밖에 없어
adapter 사용 의미가 없다고 하는데
이게 무슨 뜻인지 정확히 모르 겠네요
혹시 M to R adapter를 사용 경험이 있으시거나, 아시는분의 고견 부탁합니다
댓글목록
박성식님의 댓글
 박성식
								박성식				
				
				
											
								M바디에 R렌즈는 사용할수 있습니다만
R바디에는 M렌즈를 사용하실수 없습니다.
해당 아답터는 접사를 가능하게 해주는 아답터라는 의미일겁니다.							
김일수님의 댓글
 김일수
								김일수				
				
				
											
								반도카메라 에 게시된 adapter 설명입니다
"M to R은 렌즈 중 가장 뛰어나다는 M 렌즈를 R body에
맞게끔 만들어 주는 adapter이다. R-body를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M 렌즈의 경이로움 까지도 느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 이문구를 보면 M to R adapter는 M 렌즈를 adapter을 사용하여 R바디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분명하며
- 또, 반x카메라 상담원 얘기로는  박성식님의 의견인
   "접사를 가능하게 해주는 아답터라는 의미"가 아니고
   접사만 할 수 있다는 확답이었으며, 렌즈의 조리게도 의미가 없다는 내용이었
   습니다.
| 
				    원 작성회원 : 박성식
				 M바디에 R렌즈는 사용할수 있습니다만 R바디에는 M렌즈를 사용하실수 없습니다. 해당 아답터는 접사를 가능하게 해주는 아답터라는 의미일겁니다. | 
박미쁨님의 댓글
 박미쁨
								박미쁨				
				
				
											
								기본적으로 M mount 는 마운트 면에서 필름까지의 거리가 불과 27.8 mm 로써,
대중적인 마운트들 중에서 가장 거리가 짧습니다. 반면 렌즈와 필름 사이에
미러가 있는 slr 타입인 R mount 는 마운트와 필름간 간격이 47mm 입니다.
이 거리를 정확히 맞춰주고, 마운트부의 생김새를 같게끔 바꿔주는 것이 바로
렌즈 아답터라는 제품인데, 불행히도 여기에는 큰 제약이 2가지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첫번째 제약은, 바로 "사용하려는 렌즈의 마운트 구경이 보다 작아야 한다" 입니다.
이는 작은 구멍에 큰 렌즈를 낄 수 없듯이, 사용하려는 카메라의 마운트보다 더 큰
마운트 구경을 가진 렌즈를 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제약은, "마운트와 필름간 거리가 보다 긴 마운트 규격의 렌즈여야 한다" 는 것입니다.
이 두가지 조건에 의해서 이론적으로 M to R mount adapter 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
되어버립니다. (두번째 제약조건에 걸리고 말지요)
비록 완전한 아답터는 제작이 불가능하지만, 반쪽짜리 아답터는 제작이 가능합니다.
라이카에서 발매한 M to R Adapter 가 바로 그것인데요,
두번째 원칙을 무시한 채, (그러니까 마운트와 필름의 거리는 무시한 채)
M 렌즈를 R 마운트에 그야말로 마운트만 시킬 수 있도록 만든 변환 아답터입니다.
당연히 M 렌즈를 조절해도 초점이 제대로 맞을 수 없고 (렌즈와 마운트 거리가
너무나도 멀어지니까요.. ) 약 20mm 의 접사튜브를 중간에 낀 것과 같은
현상이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M 에는 M to R 아답터를 통해 R 렌즈를 100%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거리계 연동등이 안되는 관계로 목측식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상당히
불편한 점을 피할 수 없겠지요.
라이카 바디 외에.. 기존 slr 바디들의 마운트 중에서는 가장 흥미있는 마운트가
케논 EF 마운트입니다. 구경도 넓은 편이고 마운트와 필름 사이의 간격도 
짧아(44mm)서 Rollei SLR, M42(P)/K, Contax/Yashica, Olympus OM,
Nikon F, Leica R 등의 렌즈를 변환아답터를 통해 장착이 가능합니다.
또한 여기에 조리개 연동은 안되지만 Av 모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조리개를 조이면 스크린 자체가 어두워지고 그에 따라 자동으로 TTL 측광에
의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구조이지요. 
저는 이것을 활용하여 현재 Eos 300D 에 Contax, Nikon 렌즈를 사용중입니다.
참 재미있는 마운트 이야기이지요?							
김일수님의 댓글
 김일수
								김일수				
				
				
											
								박기쁨님
답변에 대단히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가 되시기를!!!!!!!!!!!1
| 
				    원 작성회원 : 박미쁨
				 기본적으로 M mount 는 마운트 면에서 필름까지의 거리가 불과 27.8 mm 로써, 대중적인 마운트들 중에서 가장 거리가 짧습니다. 반면 렌즈와 필름 사이에 미러가 있는 slr 타입인 R mount 는 마운트와 필름간 간격이 47mm 입니다. 이 거리를 정확히 맞춰주고, 마운트부의 생김새를 같게끔 바꿔주는 것이 바로 렌즈 아답터라는 제품인데, 불행히도 여기에는 큰 제약이 2가지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첫번째 제약은, 바로 "사용하려는 렌즈의 마운트 구경이 보다 작아야 한다" 입니다. 이는 작은 구멍에 큰 렌즈를 낄 수 없듯이, 사용하려는 카메라의 마운트보다 더 큰 마운트 구경을 가진 렌즈를 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두번째 제약은, "마운트와 필름간 거리가 보다 긴 마운트 규격의 렌즈여야 한다" 는 것입니다. 이 두가지 조건에 의해서 이론적으로 M to R mount adapter 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 되어버립니다. (두번째 제약조건에 걸리고 말지요) 비록 완전한 아답터는 제작이 불가능하지만, 반쪽짜리 아답터는 제작이 가능합니다. 라이카에서 발매한 M to R Adapter 가 바로 그것인데요, 두번째 원칙을 무시한 채, (그러니까 마운트와 필름의 거리는 무시한 채) M 렌즈를 R 마운트에 그야말로 마운트만 시킬 수 있도록 만든 변환 아답터입니다. 당연히 M 렌즈를 조절해도 초점이 제대로 맞을 수 없고 (렌즈와 마운트 거리가 너무나도 멀어지니까요.. ) 약 20mm 의 접사튜브를 중간에 낀 것과 같은 현상이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M 에는 M to R 아답터를 통해 R 렌즈를 100%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거리계 연동등이 안되는 관계로 목측식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상당히 불편한 점을 피할 수 없겠지요. 라이카 바디 외에.. 기존 slr 바디들의 마운트 중에서는 가장 흥미있는 마운트가 케논 EF 마운트입니다. 구경도 넓은 편이고 마운트와 필름 사이의 간격도 짧아(44mm)서 Rollei SLR, M42(P)/K, Contax/Yashica, Olympus OM, Nikon F, Leica R 등의 렌즈를 변환아답터를 통해 장착이 가능합니다. 또한 여기에 조리개 연동은 안되지만 Av 모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조리개를 조이면 스크린 자체가 어두워지고 그에 따라 자동으로 TTL 측광에 의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구조이지요. 저는 이것을 활용하여 현재 Eos 300D 에 Contax, Nikon 렌즈를 사용중입니다. 참 재미있는 마운트 이야기이지요?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이메일주소 무단수집을 거부합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회원가입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인